2024. 10. 21. 14:57ㆍ수학, 그리고 교육
1. 수와 생활 경제
1. 경제지표
2. 환율
3. 세금
경제수학을 처음 가르치면서, 어떻게 학생들에게 내용을 전달하는것이 좋을지 고민하여 수업한 지극히 개인적인 수업입니다. 혹시, 경제수학을 가르쳐야 하는 선생님들께 조금이나마 수업에 관한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경제지표 는 경제 활동의 분야별 상태 또는 성과를 수나 비율로 나타낸 것으로 국내 총생산, 소비자 물가 지수, 주가 지수, 경제 성장률, 취업률, 실업률 등이 있다.
경제지표 단원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 부분은, 실제 삶에서 적용되는 경제지표의 사례와 해석이었다. 교과서의 문제들은 단순 대입 및 기초적인 사칙연산 문제를 다루는 것이어서 문제를 푸는 것보다 우리 사회와 삶에서 문제를 도출해내고, 통계자료를 해석하는 능력을 이 단원에서 키우면 좋겠다고 판단하여 모둠활동을 진행하였다.
학습지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고 있다.
1. 내가 찾은 경제 지표
2. 위의 경제지표를 찾은 이유
3. 통계 자료를 찾아 표 또는 그래프로 표현하기 (통계 포털 참고 /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국가통계포털등)
4. 통계 자료의 의미와 문제점과 의도를 해석해보기
5. 위 내용을 모둠원들고 공유하기
이 활동을 진행하고, 자신이 찾은 경제지표와 통계자료를 패들렛에 올려 모둠원 이외의 학생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서는 통계자료를 바로 그래프로 변환할 수 있어서, 시각적 통계자료를 변환할 필용성이 있을때, 국가통계포털보다는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을 이용했다.
패들렛을 이용한 수업이 처음이다보니, 조금 버벅대긴 했는데 두번째 시간 이후부터는 나도 학생들도 금방 적응하여 자료를 업로드하고, 실시간으로 친구들의 학습내용을 보며 자신의 학습을 공유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었다.
학생들과 함께 공유했던 패들렛 자료는 다음과 같다
패들렛은 담벼락형식으로 지정했더니, 학생들이 올리는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올려졌다. 반별로 구분하면 좋을것 같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패들렛에서 슬라이드쇼 열기를 하면, 학생들이 올린 공유자료들을 ppt처럼 하나씩 발표하기 좋게 띄어져서 한명씩 발표를 시킬때 좋았다. 단점은 표나 글씨의 확대가 안된다는거?ㅠㅠ
학생들마다 관심있는 분야가 다른것처럼 다양한 경제지표를 찾았고, 이와 관련한 통계자료를 이용해 새로운 해석을 내놓았다.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경제지표를 공부하는 것도 좋지만, 다양한 경제지표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공유해보는 유의미한 시간이 되었다고 '나는'생각했다. 학생들도 그렇게 생각해주었으면 하고, 다음 수업부터는 공유에 이어서 발표도 해보기로 하고 수업을 마무리 했다.
'수학, 그리고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업을 하기 힘든 교실에서 살아남는 방법은?(교실붕괴, 교권추락, 교권침해) (1) | 2024.11.01 |
---|---|
고등학교 2학년) 경제수학_ 경제지표의 증감 (3) | 2024.10.22 |
수학을 포기하고 싶은, 수포자가 되려는 너에게 해주고 싶은 말말말 (5) | 2024.10.17 |
강의 잘 하는 기술, 수업 잘 하는 기술, 그 방법은 무엇일까? (7) | 2024.10.07 |
"수학 성적을 올리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해요?"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feat.현직수학교사가 고민끝에 쓰는 글) (4) | 2024.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