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그리고 교육(35)
-
고등학교 성취평가제, 최소 성취수준 미도달 학생 지도에 대한 나의 사견
고등학교 성취평가제내년 고등학교 1학년부터 전면적으로 성취평가제가 도입된다. 현재 고등학생들은, 최소 성취수준에 미도달한 학생이 있을시 그 학생을 대상으로 보충학습을 지원하도록 되어있다. 지금 학생들은 미도달 학생의 보충학습이 강하게 이루어지지 않지만, 전면적으로 성취평가제가 도입되는 내년도 고등학생부터는 미도달 여부에 따라서 보충학습을 제대로 이수하지 않을경우 학점이 이수되지 않고, 그로인해 졸업자격이 주어지지 않거나 대학에 합격하더라도 대학 합격 취소까지 할 수 있는 강력한 제제를 가할 거라는 얘기를 듣게 되었다.나는 이 성취평가의 도입에 회의적인 입장이다. 이 이야기를 전해주신 선생님께서는 긍정적으로 생각하셨지만. 내가 회의적인 입장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교 성취평가제의 수혜자는 누구인가?이..
2024.12.20 -
[동아리] 양말목 크리스마스 리스 만들기
양말목 크리스마스 리스 만들기학교 축제 동아리 부스에서 해볼것중 하나로 양말목 크리스마스 리스 만들기가 있었다. 그래서 재료를 공수해오신 선생님덕분에 부스 운영을 하기 전에 미리 연습을 해보았다.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내기 위해서, 하양 빨강 초록 양말목들!!만드는 방법이 생각보다 간단했다! 똥손인 나도, 한번 쓱 설명을 듣고 따라하니 금새 크리스마스 리스하나 뚝딱?!!!!!내가 만든 양말목 크리스마스 리스! 공예를 파는 사이트에서 크리스마스 파츠까지 공수해오신 선생님 덕분에, 예쁜 크리스마스 리스가 완성되었다 !아이들도, 재미있게 만들기활동을 해보았고! 생각보다 쉽고 간편해서 축제때 부스운영의 자신감도 덩달아 얻게 됨!너무너무 간단하고 재료도 저렴하고 만드는데 10분정도면 끝나기에, 학생들과 함께 간단히..
2024.11.30 -
수업을 하기 힘든 교실에서 살아남는 방법은?(교실붕괴, 교권추락, 교권침해)
일전에 강의력을 올릴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글을 썼었다. 자신의 영상을 찍고, 그 영상을 모니터링 하는 것을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했었다. 왜냐하면 현재 내가 이 방법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교사가 자신의 강의력을 올리기만 하면, 수업이 제대로 진행되느냐?의 질문에는 '그렇다'라고 말할 수 없었다.붕괴된 교실.내가 일정연수를 받았을때, 같은 학교급 선생님들 몇명과 조를 이루어 수업에 관한 토론을 할때였다. 내가 했었던 수업방식 중 효과적이었던 수업과 평가(간단한 쪽지시험을 본후, 그 시험지를 가지고 모둠으로 또래 학습)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었는데, 한 선생님이 이런 말을 하셨다."그 학교 학생들은 공부를 좀 하려고 하는가봐요? 저희 학교 애들한테는 통하지 않을것 같네요."나는 그 선생님의..
2024.11.01 -
고등학교 2학년) 경제수학_ 경제지표의 증감
1. 수와 생활 경제1. 경제지표 2. 환율3. 세금지난번 수업에 이어 경제지표의 증감과 관련하여 교과서 p.15에 제시되어 있는 문제를 푼 뒤 문제에 제시된 그래프를 다른 시각에서 해석해보는 활동을 진행해보기로 했다.문제는 위와 같았다. 위의 문제에서는 %p만 구하면 되는 단순한 계산문제였는데, 저 통계자료를 이런 식으로만 활용하기가 너무 아쉬워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담은 학습지를 제작했다.1. 통계자료를 통해 얻어 낼 수 있는 해석 2. 함께 활용 가능한 통계 자료를 찾아서 표/그래프로 나타내면 (ex. 다른 OECD국가와의 비교자료 등) 3. 추가한 통계자료를 적용해서 할 수 있는 새로운 해석, 인사이트는? 4. 새로운 해석을 통해 구상할 수 있는 정책/법/사업/사회적 활동등은 무엇이 있을까? 5...
2024.10.22 -
고등학교 2학년) 경제수학_ 경제지표
1. 수와 생활 경제1. 경제지표 2. 환율3. 세금경제수학을 처음 가르치면서, 어떻게 학생들에게 내용을 전달하는것이 좋을지 고민하여 수업한 지극히 개인적인 수업입니다. 혹시, 경제수학을 가르쳐야 하는 선생님들께 조금이나마 수업에 관한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경제지표 는 경제 활동의 분야별 상태 또는 성과를 수나 비율로 나타낸 것으로 국내 총생산, 소비자 물가 지수, 주가 지수, 경제 성장률, 취업률, 실업률 등이 있다.경제지표 단원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 부분은, 실제 삶에서 적용되는 경제지표의 사례와 해석이었다. 교과서의 문제들은 단순 대입 및 기초적인 사칙연산 문제를 다루는 것이어서 문제를 푸는 것보다 우리 사회와 삶에서 문제를 도출해내고, 통계자료를 해석하는 능력을 이 단원에서 키우면..
2024.10.21 -
수학을 포기하고 싶은, 수포자가 되려는 너에게 해주고 싶은 말말말
선생님, 큰일났어요... 저 수학 진짜 포기해야 하는걸까요? 다시 처음부터 해야할것 같아요.며칠 전, 10월 모의고사 시험이 있었다. 1학기때 배운 수학2가 벌써 가물가물 하단다. 어디서부터 다시 시작해야할지 모르겠다고. 진짜 큰일났다면서!이 말을 한 민석(가명)이는 수학 성적이 낮은 학생이었다. 그렇다고 머리가 나쁘다고 생각하면 오산. 왜냐하면 민석이는 경제과목에서 전교1등인 학생이기 때문이다. 민석이는 자기가 좋아하고 흥미있어하는 교과는 집요하게도 자세히 공부하면서 그렇지 않은 교과(그 중에 수학도 포함)는 성적이 좋지 않았다.나는 물었다. "선생님, 저 수학 포기해야할까요? 도저히 방법을 모르겠어요. 좀 쉬운 문제집좀 추천해주세요!""음.. 민석아... 벌써 나는 그 답을 알것같은데... 너 혹시 ..
2024.10.17